캐나다는 한국처럼 급식 문화가 발달되어 있지 않다. 사립학교에서는 급식이 시행되는 곳이 대부분인데 공립학교나 가톨릭 학교에선 누구나 다 도시락을 싸가야한다. 처음 이곳에 와서 놀란 건 정말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알레르기를 갖고 있다는 건데 특히 학교마다 가장 큰 주의 사항 중 하나는 Peanut Allergy 땅콩알러지다. 학교마다 office에 가면 Epipen(알레르기응급처치 시스템: 계란, 조개, 꽃가루, 거미, 벌등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로 전신 알레르기 반응-Anaphylaxis쇼크가 와서 기도가 막히고 호흡곤란인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하게 된다)이 세팅되어 있다. 만일 땅콩 관련 음식을 조금만 먹게 돼도 호흡곤란으로 사망에 이르므로 간식거리를 살 때도 Peanut Free 제품을 확인하고 사는경우가 많다. 학교마다 약간 다르지만 아예 땅콩 관련 제품을 가져오지 못하게 하는 곳도 많다. 특히 저학년은 음식을 서로 나눠 먹어서도 안된다. 그만큼 위험 요소가 있기에 서로 주의를 요하는 부분이다. 엄마들은 매일 오늘은 뭘 먹지를 고민하는데 오늘은 뭘 싸야 하나 가 여기에선 고민이다. 도시락은 아이들 뿐만 아니라 직장인들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처럼 직장 주변에 먹을 것들이 많으면 몰라도 캐나다에서는 차로 이동해야 하는 게 대부분이라 쉽게 접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한국처럼 다양한 음식의 배달 문화가 발달되어 있지도 않다. 그러니 엄마들은 남편, 아이들 도시락 메뉴에 한번 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여기에선 냄새에 민감하므로 아무 음식이나 막 싸 줄 수 없다는 것. 물론 어른들은 별 상관이 크게 없지만 아이들은 가끔 음식 종류에 따라 시선 집중이 되니까 나름 더 신경을 쓰게 된다.
캐나다 아이들 도시락을 보면 또 한번 놀랄 수도 있다. 어떤 아이는 사과 한 개, 또 어떤 아이는 과자 한 봉지, 또 어떤 아이는 식빵에 잼 발라서 대충 뭐 이렇게도 도시락이라며 들고 오는 아이들이 있다. 캐나다도 선진국이지만 많은 아이들이 아침을 굶고 오는 경우, 점심을 못싸오는 경우 등 많은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물론 경제적인 문제나 부모의 무관심이 주요 원인이었다. 모두 한국엄마들처럼 메인 도시락에 주스, 과일, 스낵등 다양하게 준비를 해서 보내지는 않는다. 그러고 보면 캐나다 사는 한국 아이들은 참 복이 많은 건데 알고 있으려나 모르겠네요.
도시락 메뉴는 뭘 싸야 하는지 고민해 볼까요? 전 샌드위치, Wrap, 핫도그,햄버거, 머핀, 도넛, 김밥, 삼각김밥, 유부초밥, 스파게티. Perogies, Tarquito, 피자, 볶음밥, 주먹밥, 만두, 등을 싸 주었고 고학년일 때는 다양한 종류의 컵라면과 보온병에 뜨거운 물을 싸 주었어요. 물론 캐나다도 마켓에 가면 전자렌지에 데워서 도시락으로 쌀 수 있는 제품들이 꽤 있어요. 윈저에도 한국마켓이나, Multi-food에 가면 더 다양한 한국 먹거리가 들어와 있어서 다양성을 높일 수가 있게 되었어요. 물론 고등학교엔 카페테리아가 있어서 뭔가를 사 먹을 수는 있지만 대기시간도 길고 음식을 공부한 사람으로 캐나다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음식이 학교 카페테리아 음식임을 배우게 되죠. 그다지 아이들에게 먹이고 싶지 않더라고요. 매일매일 준비하는 반찬과 도시락 엄마들의 고민거리 일 텐데요. 저는 국, 반찬, 도시락 리스트를 생각나는 대로 냉장고에 붙여놓고 고민할 때 도움을 받곤 합니다, 맛난 음식이나 아이디어 있으면 함께 공유하면 좋겠네요.
'윈저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첫날부터 Furnace와 전쟁 (0) | 2023.01.05 |
---|---|
한국 교육 시스템 확! 한번 뒤집혀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0) | 2022.05.18 |
봄이 온다. 가드닝의 시작과 함께 잡초와의 전쟁을 선포한다. (0) | 2022.05.03 |
캐나다 Holiday, 쉬는날, 기억해야는 날 (0) | 2022.05.03 |
윈저에서 장보기 (0) | 2022.04.27 |